우리나라 이름난 소나무들 우리나라 이름난 소나무들 천연기념물 우리나라 소나무 속리 정이품송(천연기념물 103호) 운문사 처진소나무(천연기념물 180호) 합천 묘산면 소나무 (천연기념물 289호) 문경 농암면 반송(천연기념믈 292호) 괴산 청천면 소나무(천연기념물 290호) 의령 성황리 소나무(천연기념물 359호) 울진 행곡리 처진소.. 사는 이야기/이런저런 이야기들 2007.08.10
북미산 목재의 물리 · 기계적 성질 (hardwood) 북미산 목재의 물리 · 기계적 성질 (hardwood) 과 명 수 종 명 학 명 기건 비중 수축율 휨강도 종압축 강도 전단 강도 방사 방향 접선 방향 단위 % % kg/cm2 kg/cm2 kg/cm2 Salicaceae 버드나무과 Balsam poplar Populus balamifera 0.36 3.9 6.4 478 268 59 Cotten wood Populus deltoides 0.43 3.9 9.2 598 345 65 Quaking Aspen Populus tremuloides 0.42 2.7 5.7 .. 사는 이야기/이런저런 이야기들 2007.08.10
창호 소목장 심용식 금강송 창호 소목장 심용식씨 최근 경복궁 태원전 권역 복원에 금강송 140여그루가 동원됐다. 곧고 단단한 이들 금강송은 태원전의 대들보와 기둥, 문짝이 되었다. 금강송이 대목장, 소목장의 손길을 거쳐 천년 문화재로 다시 태어난 것이다. 문화재 기능 보유자 심용식(53·소목장)씨. 창호 장인인 그는.. 사는 이야기/이런저런 이야기들 2007.08.10
[나무]란 무엇 일까요? [브리스틀콘 파인Bristlecone pine] [나무]란 무엇 일까요? [브리스틀콘 파인Bristlecone pine] 나무는 지구상에서 유일하게 인간의 힘으로 증식 가능한 몇 안되는 자연 자원일 것입니다. 필요에 의해서 체취하여 사용하기도 하지만 또, 어린 묘목을 심어 증식시킬 수도 있습니다. 가능한 철저하게 환경을 우선하여 벌목이 이루어 져야 겠으나 .. 사는 이야기/이런저런 이야기들 2007.08.10
신성한 나무 바오밥 [신성한 나무 바오밥] 아프리카로 가는 여행자들에게는 생떽쥐뻬리의 ''어린 왕자''를 배낭 한켠에 소중히 넣어 가져가기를 권한다. (올해(2007)는 ''어린 왕자''의 저자인 ''생떽쥐뻬리(Antoine Marie Roger De Saint Exupery 1900년 6월 29일 - 1944년 7월 31일 )'' 가 태어난 지 107년 되는 해이다.) 동 아프리카에 가면 웅.. 사는 이야기/이런저런 이야기들 2007.08.10
부자가 되려면 이렇게 책을 읽어라! 부자가 되려면 이렇게 책을 읽어라! 부처는 잡아함경(雜阿含經)에서 세상의 이치를 아는 길에는 세 가지가 있다고 하였다. 첫째, 미루어 아는 것(比知;비지), 둘째, 그대로 아는 것(現知;현지), 셋째, 가르침에 의지하여 아는 것(約敎而知;약교이지)이 그것이다. 여기서 가장 높은 단계의 길이 '약교이지'.. 사는 이야기/이런저런 이야기들 2007.08.09
한계령 - 詩 : 정덕수 (옮겨온 글) 한계령에서 1 詩 : 정덕수 온종일 서북주릉(西北紬綾)을 헤매며 걸어왔다. 안개구름에 길을 잃고 안개구름에 흠씬 젖어 오늘, 하루가 아니라 내 일생 고스란히 천지창조 전의 혼돈 혼돈 중에 헤메일지. 삼만육천오백날을 딛고 완숙한 늙음을 맞이하였을 때 절망과 체념 사이에 희망이 존재한다면 담배 .. 사는 이야기/이런저런 이야기들 2007.08.09
목조주택 설계에도 장인정신 필요하죠 “목조주택 설계에도 장인정신 필요하죠” 한국목조주택을 이끄는 건축사 (주)솔토건축 조남호 대표소장 “건축가가 환경에 대한 고민이 없어서 현재의 환경문제들이 대두됐다고 생각한다”고 말하는 솔토건축사사무소의 조남호 소장은 “목재가 해결책이 될 수 있다”며 예찬론을 펼쳤다. 목조는 .. 사는 이야기/이런저런 이야기들 2007.08.07
건축, 무형을 유형으로 풀어내는 것 “건축, 무형을 유형으로 풀어내는 것” 건축사사무소 ‘미추’ 대표 송 재 승 ‘한국의 목조주택’이라 하면 우드유니버시티의 송재승 원장을 떼놓고 생각할 수 없다. “지난 8년 간 1500명을 교육하면서 ‘교육’이라는 것보다는 ‘같이 해보자’라는 데 큰 의미가 있었다”는 송 원장은 1998년 인하.. 사는 이야기/이런저런 이야기들 2007.08.07
추억과 미소를 담은 폐교의 대안 공간 추억과 미소를 담은 폐교의 대안 공간 프레시온 파크 Fresh-on Park 박공형 천장을 터서 50년 이상의 세월을 간직한 목조의 아름다움을 그대로 드러낸 다실. 신선한 자연경관을 담는다는 뜻의 프레시온 파크는 폐교를 기업 연수원으로 활용한 사례로, 이상적인 폐교의 대안공간이자 마을주민을 위한 공용 .. 사는 이야기/이런저런 이야기들 2007.08.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