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라마 사극열풍 목재산업에도 희소식 드라마 사극열풍 목재산업에도 희소식 [해안실업], 태왕사신기에 45만 재 납품 지난해 안방 TV를 점령했던 고구려 사극의 인기는 올 해도 이어진다고 한다. 고구려의 인기가 사극열기를 불러일으킨 것이겠지만, 이유야 어쨌든 사극의 인기에 웃는 것은 방송사만은 아닐 것이다. 수년간 드라마 세트 자.. 건축관련 자료실/목재관련 자료 2007.12.27
구조용 집성재 구조용 집성재 구조용 집성재는 한국산업규격(KS F 3021) 구조용집성재와 건교부 고시(2005-81호) 건축구조설계기준 제8장 목구조 조항을 보면 특별한 강도등급에 기준하여 선정된 목재를 섬유방향이 서로 평형하게 집성 접착하여 공학적으로 특정 응력을 견딜 수 있도록 생산된 제품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건축관련 자료실/목재관련 자료 2007.12.18
삼나무의 왕국 미야자키 현(宮崎縣)에 가다 삼나무의 왕국 미야자키 현(宮崎縣)에 가다 후쿠오카 공항으로부터 4시간 남짓을 줄곧 달려서야 미야자키 현에 이를 수 있었다. 김포공항에서 동해안 바닷가를 향하는 기분이랄까. 그사이 차창 밖으로 끊임없이 이어지는 가지런한 삼나무 숲을 보면서 ‘과연 여기가 삼나무 왕국이 맞구나’ 하고 실감.. 건축관련 자료실/목재관련 자료 2007.12.16
내화·난연 성능 탁월한 국산 FC보드 출시 내화·난연 성능 탁월한 국산 FC보드 출시 섬유판 가공성에 합판 강도 지녀 난연성과 내화성을 지니면서도 친환경성을 갖춘 보드가 출시돼 화제다. 이 보드는 합판에 필적하는 강도를 지니면서 시공과 가공성이 우수한 제품이다. 이 보드의 가장 큰 장점은 연소 시 타면서도 냄새가 나지 않는 데 있다... 건축관련 자료실/목재관련 자료 2007.12.14
베코우드 베코우드(VECOwood)… 활엽수 대체재로 각광 영국에서 열린 2007년 인터빌드(UK Building trade show)에서 쿠라우드(Kurawood)는 “베코우드(VECOwood)로 제작된 일련의 상품을 출시하기 시작했다”고 발표했다. 쿠라우드의 로이 틸리어드(Roy Tilleard)사장에 의하면 “건축업자들은 자연적인 미와 내구성 때문에 오크나.. 건축관련 자료실/목재관련 자료 2007.12.12
현실과 거리먼 폐목재 재활용 정책 현실과 거리먼 폐목재 재활용 정책 정부가 2012년까지 폐목재의 재활용율을 66%까지 높이겠다는 발표가 있은 뒤 일부에서는 “이번에도 그 구체적인 방법보다는 ‘계획이다’라는 말뿐인 것 같아 확실한 기대는 하지 않는다”고 말하고 있다. 환경부는 폐목재 재활용률이 66%까지 늘어나게 되면 연간 20.. 건축관련 자료실/목재관련 자료 2007.12.10
‘라치’합판 우드그레인 트렌드 덕 보는 ‘라치’합판 특수합판 전문 대붕실업 직수입 핀란드산 자작나무합판 전문유통업체로 유명한 대붕실업(대표이사 조준희)이 이번에는 라치(Larch)합판으로 특수합판 전문기업의 이미지를 다지고 있다. 낙엽송으로 잘 알려진 라치 수종이 최근 리얼 우드그레인 패턴을 선호.. 건축관련 자료실/목재관련 자료 2007.12.09
살아 있는 화석나무 메타세콰이어 우표속 나무 이야기 살아 있는 화석나무 메타세콰이어 춘천에 있는 남이섬에 가면 사진으로 보는 것만으로도 시원함을 느낄 수 있는 ‘메타세콰이어 가로수 숲 길’을 만날 수 있다. 배용준과 최지우 씨가 주연한 드라마 ‘겨울연가’가 이 숲길을 배경으로 해 한때는 일본인 관광객이 몰려 왔으며, .. 건축관련 자료실/목재관련 자료 2007.12.05
향기 좋은 뇌성나무 우표속 나무 이야기 향기 좋은 뇌성나무 북한에서는 뇌성나무라고 하며 우리나라에서는 간자목, 감태나무라고도 하며 산기슭의 양지에서 자란다. 높이는 약 5m~8m정도로 작은 키 나무이다. 지름은 13cm정도이며, 낙엽활엽 관목으로 중부 이남의 표고 50~1100m에 자라고 특히 지리산 줄기를 따라 남부 지방.. 건축관련 자료실/목재관련 자료 2007.12.04
모방할 수 없는 나무 무늬 우표속 나무 이야기 모방할 수 없는 나무 무늬 “아름다운 여성을 아름다운 꽃으로 때리면 누가 더 아플까.” 이와 같은 질문에 대부분의 사람들은 여성이라고 말할 것이다. 그 이유는 사람이기 때문이고 식물은 감각이 없다고 믿기 때문이다. 그러나 사실은 이와 다르다. 식물이 사람보다 훨씬 민감.. 건축관련 자료실/목재관련 자료 2007.12.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