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재의 제적 산출법
조경수목의 치수
- 수고(樹高) (H):나무의 높이를 말하며 H로 표시한다. 표시단위는 m이다.
|
|
예를 들어 도면에 ‘3-소나무 H3.5× R15’로 표기되었다면 높이 3.5m의 근원지름 15cm 짜리 소나무 3주를 의미한다. ‘30-회양목 H0.5× W0.3'은 높이 0.5m 수관나비 0.3m 회양목이 30주가 식재됐음을 의미한다.
|
목재의 제적단위 계산표
사이(才) : 일본이나 한국의 종전 체적단위로서 아직도 목재제품에는 이 단위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
1寸 × 1寸 × 12尺 (즉 1치 × 1치 × 12자)의 체적을 1사이로 하는 것으로서 才를 표기합니다.
|
수종별 용도
구 분 |
수 종 |
용재수종 (23개) | 강송(소나무), 잣나무, 낙엽송, 가문비나무, 편백, 분비나무, 삼나무, 스트로브잣나무, 버지니아소나무,, 참나무류, 자작나무, 음나무, 피나무, 노각나무, 서어나무, 거제수나무, 가시나무, 박달나무, 백합나무, 이태리포플러, 물푸레나무, 오동나무, 황철나무 |
유실수종 (4개) | 밤나무, 호도나무, 대추나무, 감나무 |
조경수종 (20개) | 은행나무, 느티나무, 복자기, 마가목, 벚나무, 층층나무, 매자나무, 화살나무, 당단풍, 산딸나무, 쪽동백, 이팝나무, 채진목, 때죽나무, 가죽나무, 낙우송, 회화나무, 칠엽수, 향나무, 꽝꽝나무 |
특용수종 (10개) |
옻나무, 다릅나무, 쉬나무, 두충나무, 두릅나무, 단풍나무, 고로쇠나무, (음나무), 느릅나무, 동백나무 |
내공해수종 (12개) | 산벚나무, (때죽나무), 사스레피나무, 오리나무, 참죽나무, 벽오동, 해송, (은행나무), (참나무류), (가죽나무), 가마귀쪽나무, 버즘나무 |
내음수종 (5개) | 주목, (서어나무), (음나무), 녹나무, 전나무 |
내화수종 (4개) | 황벽나무, 굴참나무, 아왜나무, (동백나무) |
목재가 색깔을 가지는 이유
목재의 색깔(재색)은 주로 추출물에 의해 결정된다. 그러나 목재가 일광에 노출되는 경우 리그닌과 같은 세포벽의 주성분 역시 산화되어서 재색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신문지를 일광에 오랫동안 노출시키면 노랗게 변하는 것이 그 예이다.
목재의 재색은 미관적 가치 외에 수종 식별의 수단으로도 이용되며, 이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심재의 색을 이용한다. 변재의 색은 대개 수종에 따른 특징이 되지 못하며 색이 나타난다 할지라도 그 색은 회색 또는 옅은 황백색, 옅은 연분홍색 또는 옅은 적색을 띠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것도 공기중에 노출되면 산화에 의해 갈색조로 변화되는 경우가 있다.
목재로써 많이 선호되어 온 흑호두나무(black walnut)의 심재는 적갈색을 띠는데 이들은 고급 가구용으로 오랫동안 이용되어 왔다.
칠흑색의 심재를 지니는 흑단(ebony) 역시 독특한 재색을 지니는 목재의 한 예이다.
미국산 목재 가운데 뚜렷한 황색 심재를 지니는 것으로는 yellowwood를 들 수 있고 녹색이나 녹갈색 계통의 심재는 튜울립 나무(yellow-poplar)의 특징이 되고 있다. 목재 식별용으로 재색을 이용하는 특수한 경우로는 Osage-orange의 황색 수용성 추출물을 들 수 있는데 이것은 아까시나무(black locust)로부터 이 목재를 쉽게 구분할 수 있는 특징이 되고 있다.
목재의 재질 및 용도
'건축관련 자료실 > 목재관련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나라의 대표적 수종과 특성 (0) | 2008.02.02 |
---|---|
느릅나무 (0) | 2008.02.01 |
계단은 집의 품격을 말한다 (0) | 2008.02.01 |
보행감과 생체부담 (0) | 2008.01.30 |
PET밴드, 목재포장에 新바람 몰고 와 (0) | 2008.01.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