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자인은 생활이고 발견이며 오늘이다
-Designer/ 김대성
광주 비엔날레, 예술의 전당 디자인 전시회 등에서 주목을 끌었던 디자이너 김대성. 그는 ‘오늘’을 ‘생활’하고 있는 현대인에게 디자인이 ‘왜’ 그래야만 하는지를 ‘발견’해 작품을 통해 표현하고 있다.
김대성은 프랑스 유학파로 7여 년 동안 디자인 공부를 해 박사학위를 마치고 국내에서는 계원조형예술 대학 교수이자 가구, 제품 디자이너로 활동 중이다.
지난해 광주 비엔날레, 예술의 전당 디자인 전시회 등에서 작품을 선보이며 2년 동안 많은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게다가 최근에는 파리 가구 박람회에서 디자이너로 선정돼는 쾌거가 있었으나 내년으로 미루고 차근히 준비 중에 있다.
그는 디자인과 예술을 구분지어 주는 기준을 ‘기호학’에서 찾고 있으며 어떤 디자인에 대해서건 ‘왜?’라는 물음에 답할 수 있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게다가 접목을 시키는 것은 단지 접목일 뿐 디자인이 아니라는 것이다. 이해가 바탕이 되어 기능을 넘어서지 않는 아름다움이 바로 그가 추구하는 디자인이다.
기호학의 디자인
그는 이 기호학을 통해 작품 세계를 구체적으로 다지기 시작했다.
“아름다움은 그 기능을 넘어서서는 안 되며 최대한 간결하되 불필요한 것은 제외하고 남은 알맹이가 디자인이 되는 것이죠. 그다음에 데코레이션이 덧붙게 되는 것입니다.”
김대성은 실용성과 기능성을 중심으로 하는 디자인을 만들어 나가고 있다.
우리는 카피 민족인가?
“우리나라는 산업사회로 급속도로 변하면서 중간단계가 없었던 게 사실입니다. 특히 디자인의 문화적 가치를 축적해나가는 시간이 너무나도 짧았습니다. 지금이 그것을 형성해 나가는 과도기인 것 같아요.”
국내 실정과 서구의 오랜 시간의 진통 끝에 완성해져 있는 문화적인 차이를 여실히 보여주는 대목이다. 그는 프랑스에서 귀국한지 얼마 안 돼 한동안 깊은 실의에 빠졌었다. 가방과 옷, 가구, 인테리어 등 모든 디자인 분야에서 ‘카피’ 문화가 너무나 자연스럽게 배어 있었기 때문이었다.
“디자인을 선보이기가 무섭게 카피가 너무나 당연히 퍼지고 있어 실망한 게 사실입니다. 가끔 우리는 정말 카피 민족인가 하는 생각까지 들더군요. 이런 현실과 타협하고 싶지 않아 한국에서 지낸 4년 중 무려 2년 동안이나 마음의 문을 닫고 있었습니다.”
나는 지구인이다
.jpg)
프로필
1998년 Rue Royale 건축회사 디자이너
1999년 Frac Rhone Alpes 현대미술관 디자이너
1998~2001 프랑스 베르사유 예술 대학 및 파리8 조형학과 대학 박사수료
2004년 서울 디자인 페스티벌 전시(예술의 전당)
2005년 Design on/OFF 및 광주 디자인 비엔날레, SDFE 서울디자인포럼전, Designers block LONDON (영국) 출전
2002~현재 계원 조형 예술 대학 교수
저서 The design / 디자인 찾기
김은진 기자 ejkim@woodkorea.co.kr
'사는 이야기 > [훔쳐보기]의 즐거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믹스 앤 매치의 자유로운 상상-박서지 (0) | 2007.09.08 |
---|---|
쾌활한 화병을 디자인하는 마린 갸뎅 (0) | 2007.09.08 |
비타협적인 가구, 오브제 디자인-장누벨(Jean Nouvel) (0) | 2007.09.08 |
자신의 그림자와 한 몸이 된 가구 (0) | 2007.08.07 |
나무, 手를 만나다. (0) | 2007.08.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