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을 닫고 지내는 시간이 많아지는 겨울이 찾아왔습니다.
차가운 바깥공기 때문에 바람이 새어 나오는 작은 틈 하나라도 꼭꼭 막아 버리고 싶지만 그럴수록 겨울철 실내 공기는 점점 나빠질 수 밖에 없습니다.
건강을 위해서는 꼭 필요한 실내공기관리를 해야합니다.
환기는 오전, 오후 두 번 이상 필요합니다.
너무 이른 시간이나 늦은 시간엔 오염된 공기가 지상으로 깔리기 때문에 오전 10시 이후나 낮 시간대를 이용합니다. 오후엔 9시 이전이 좋습니다.
일단 환기를 하게 되면 실내 공기를 외부 공기와 완전히 바꾸는 것임을 명심하시고, 공기의 원활한 흐름을 위해 마주보는 창문들을 최소한 10분 정도는 열어두면 좋습니다.
방 청소를 할 때 창문을 열어놓는 것도 바람직한 방법입니다.
가스를 자주 사용하는 부엌 쪽 창을 열어두면 좋으며, 사람이 내 놓는 이산화탄소가 밀폐된 공간에서 쌓이면 두통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창문을 약간 열어 외부 공기가 계속 들어오도록 해야 합니다.
실내 온도는 18∼22도, 습도는 55% 전후가 적당합니다.
조금 춥게 느껴지는 정도이긴 하지만 이런 온도를 유지해야 하는 이유는 미생물이 살기에 적합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입니다.
실내에서 편안한 겉옷을 하나쯤 걸치고 있는 것도 에너지 절감, 난방비 절약을 위해서도 도움이 되는 일입니다. 한편 겨울철 건조한 실내 습도를 높이기 위한 지나친 가습으로 창 주변 등 외기와 접하는 부분에 결로가 생길 수 있는데 결로의 발생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건축물의 입지 조건 :
건축물이 밀집되어 있어 일조량이 부족하거나 통풍이 되지 않고, 온도나 바람등의 기후 조건이 까다로울 경우 결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2) 건축물의 하자 :
내장재의 방습 성능이 떨어지거나 단열재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 결로 현상이 쉽게 발생하고, 콘크리트의 양생이 되지 않았을 때에도 결로가 발생합니다.
건축을 겨울에 하거나 한여름이 지난후에 습식 공사가 진행된 경우에는 같은 조건에서도 결로가 더 심하게 발생하기도 합니다.
3) 생활 습관 :
주거 생활에 있어서는 필연적으로 습도가 높은 공기가 형성되는데 이에 적절한 배출을 위하여 환기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나 이를 소홀히 하거나 부족하게 하면 결로가 발생합니다.
생활에서 발견되는 대부분의 결로 현상은 환기를 적절하게 시행하지 못하는 상태에서 밀폐된 환경을 유지하고 심지어는 거실이나 침실에서 식 물을 키우는 등의 비적절한 생활 습관에서 비롯됩니다.
4) 계절적인 온도/습도 차이 :
겨울철에는 외부의 온도가 낮은 반면에 난방등에 의해 실내 온도가 높고 주방이나 욕실에서의 온수 사용, 사람들의 호흡, 실내의 식물등에 의해 실내 습도가 높아 져서 여름에는 발생하지 않은 결로가 심하게 발생하기도 합니다.
5) 창호 제품상의 문제 :
습도가 높은 실내에서는 가구의 뒤편나 벽체의 코너부분에 습기가 흡수되어 곰팡이등으로 나타나게 되지만 결로 현상의 대부분은 창호 제품의 표면이나 유리의 표면에서 물방울로 나타납니다.
이는 벽체에서의 결로는 마감재에 의해 가려져서 직접적으로 나타나지 않지만 단열바가 사용되지 않은 금속재의 창호나 단열성이 낮은 유리는 외부의 온도를 실내에 그대로 노출 시킨 상태와 같이 되어 실내 온도를 떨어뜨리면서, 온도가 떨어진 공기에서 발생하는 수분을 물방울로 형성하게 됩니다.
여름철 냉장고에서 시원한 사이다를 꺼내면 곧바로 물기가 차가운 유리병 표면에 달라 붙습니다.
혹은 안경을 낀 사람이 추운겨울 따뜻한 실내로 들어갔을때에 여기저기 흩어져 있던 포화 수증기가 사람 몸중 가장 차갑게 있는 안경알에 달라붙는 원리입니다.
유리면에 혹은 창틀에 생기는 결로 현상 또한 실내 포화 수증기가 가장 좋아하는 차가운 부분으로 달려가는 현상입니다.
결로 발생 원인을 줄이기 위해선 가정에선 음식물을 조리한 후 또는 실내 습도가 높다 싶으면 적당한 환기를 통해 차가운 것을 좋아하는 수증기를 바깥으로 내보내는 방법이 최선일 듯 싶습니다.
더불어 고기능 단열필름 시공 또한 차가운 유리면을 보강해 주는 훌륭한 방법이기도 합니다.
출처 : Filmplus사
'건축관련 자료실 > 경량 목구조 건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축공사표준시방서 [목공사] (0) | 2007.08.12 |
---|---|
데크시공 - 조이스트(Joist) 시공 (0) | 2007.08.12 |
결로(물방울맺힘) 방지법 (0) | 2007.08.12 |
방습지(Tyvek) (0) | 2007.08.12 |
단열재 (0) | 2007.08.12 |